[생활지도와 상담] 성격검사에 대한 이해 - 인벤토리형 성격검사, 투사법검사(로르샤하 잉크반점검사, 아동용 회화통각검사, 인물화검사, 집-나무-인물검사, 문장완성검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지도와 상담] 성격검사에 대한 이해 - 인벤토리형 성격검사, 투사법검사(로르샤하 잉크반점검사, 아동용 회화통각검사, 인물화검사, 집-나무-인물검사, 문장완성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인벤토리형 성격검사
1) 한국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2) 한국 아동인성평정척도
2. 투사법검사
1) 로르샤하 잉크반점검사
2) 아동용 회화통각검사
3) 인물화검사
(1) 그림의 순서
(2) 그림의 비교
(3) 그림의 크기
(4) 그림의 위치
(5) 인물의 움직임
(6) 왜곡과 생략
(7) 선의 성질
(8) 인물화의 특징
4) 집-나무-인물검사
5) 문장완성검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적인 사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인물화의 외곽선이 명료하고 강한 선으로 그렸을 경우 외부 압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는 수검자의 욕구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영은 불안과 관련이 있고, 성기 부분의 음영은 성적 기능과 관련된 불안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 인물화에서 안쪽을 향해 그려진 선은 자기몰입, 내향성, 불안을 암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바깥쪽으로 그려진 선은 공격성이나 외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향하는 선은 내향성이나 고립감을 시사하는 것이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선은 외향성이나 사회적 자극 추구 및 지지 에 대한 욕구를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
(8) 인물화의 특징
추상적으로 그린 인물화는 회피성향을 지적하는 것으로 불안정하고 자기불신이 강할 경우 인물을 추상적으로 그리는 경향이 있다. 광대나 만화처럼 우스꽝스럽게 그린 인물화는 검사자나 타인에 대한 적대감과 경멸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인물화는 배척받고 거부 받은 비행청소년의 그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마녀와 유사한 인물화는 처벌하는 인물에 대한 적대적 공격성을 지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때로는 땅이나 울타리 같은 보조물을 그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다른 사람의 지지에 대한 욕구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4) 집-나무-인물검사
집-나무-인물검사(House-Tree-Person Test: HTP)는 집, 나무, 사람을 자유롭게 그리도록 하는 투사법검사다. 거의 모든 종교, 신화, 의식, 전설, 예술, 꿈 등에서 인간의 발달과정을 나무에 비유한다. 나무 그림은 수검자의 개인적 변화과정을 의미하고, 사람 그림은 이보다 더 깊이 있는 은유적 측면을 나타내며, 집 그림은 수검자의 현실감을 의미한다. 이 세 가지 대상을 그리도록 하는 집-나무-인물검사는 세 가지 요소 간의 상호작용과 이를 통해 수검자의 내적 심리적 상태를 이해하려는 검사다.
HTP는 임상가들이 선호하는 검사로서 지난 40년간 매우 꾸준히 사용되었다. 그러나 어떤 한 가지 기호나 표현(sign)이 수검자의 장단점을 정확하게 나타내 주지 않고, 한 가지 의미만을 나타내는 표현은 없으며, 같은 표현이라도 수검자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를 수 있고, 분석적 관점에 따라 진단하고 예후를 추정하는 방법이 다르며, 그림의 색채는 어떤 절대적이거나 보편적인 의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양적 채점체계를 사용해서 계산한 점수를 그대로 받아들여 해석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이 검사는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되고 표준화된 것으로 정신병 진단에 초점을 두고 있고, 세 장의 검사지 위에 집, 나무, 사람을 각각 그리도록 하므로 그림들 간의 상호작용이나 활동 내용이 거의 표현되지 않으며, 정신분석학적 개념에 근거해서 모든 자료와 상징을 해석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HTP는 객관적 자기보고형 질문지에서 찾아볼 수 없는 수검자의 내면적 · 심리적 상태에 대한 풍부한 가정을 형성하고 설정할 수 있다는데 많은 장점이 있다.
HTP는 각각 한 장의 종이 위에 세 가지 그림을 개별적으로 그리게 하는 검사인 반면, 동작성(kinethetic) HTP(K-HTP)는 집, 나무, 사람을 한 장의 종이 위에 모두 그리게 하여 세 가지 대상 간의 역동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검사다.
HTP는 백지만 있으면 실시할 수 있다. Buck(1981)의 네 장의 검사지를 가지고 첫 장에는 수검자의 신상정보를 기록하고 나머지 세 장에는 차례대로 집, 나무, 사람을 그리도록 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그림에 대한 수검자의 생각을 유도하기 위해 60가지 질문을 사용하였다. 검사자는 검사지 각각에 "집, 나무, 사람의 전체 모습을 그려 보십시오.“라고 지시한다. 이때 집을 그릴 때는 검사지의 긴 면을 수평으로 두고 사람과 나무를 그릴 때는 수직방향으로 제시한다.
HTP의 해석은 대체로 DAP와 유사하다. 두 검사 모두 처음에는 지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었고 양적인 채점체계도 있다. 그러나 그 이후로는 주로 성격을 평가하기 위한 투사법검사로 사용되었다. HTP는 다음의 세 가지 일반적 가정에 근거하여 해석한다. 첫째, 집은 수검자의 가정생활과 가족 간의 관계를 의미한다. 둘째, 나무는 주변 환경에 대한 수검자의 태도를 반영한다. 셋째, 사람은 수검자의 대인관계를 의미한다. 그리고 Buck(1981)은 그림의 양적 · 질적 측면에 대한 많은 해석적 가정을 제시하였다.
5) 문장완성검사
문장완성검사(Sentence Completion Test: SCT)는 수검자에게 일련의 미완성문장을 제시하고 그 문장을 완성하도록 하는 검사다. 다른 투사법검사와 마찬가지로 수검자가 문장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기본적인 동기, 태도, 갈등, 공포 등이 반영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문장완성검사는 다른 투사법검사보다 검사자극이 더 분명하고 수검자가 검사자극의 내용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다른 투사법검사에 비해 의식수준의 심리적 현상이 잘 반응되는 경향이 있다. 문장완성검시는 면접과정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개인의 갈등이나 병리적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다른 검사들에서 나타난 역동적 내용을 확인해 주는 매우 유용한 검사다. 이러한 문장완성검사는 수검자의 언어반응에서 나타난 기본적인 동기를 주관적 · 직관적으로 분석하는 방식과 완성된 문장을 따로 채점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문장완성검사는 문항이 매우 짧지만 몇 가지 기본적인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물론 대부분의 문장완성검사는 훨씬 더 길고 주제도 다양하다. 적게 40문항에서 많게는 100문항으로 구성된 문장완성검사도 있고, 주제도 네 가지에 많게는 15가지나 된다.
참고문헌
고영남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2
김준규, 박희숙 외 저, 아동생활지도, 동문사 2015
임은미, 안주영 회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3
박선환, 박숙희 외 저, 생활지도와 상담, 공동체 2013
정문자 저, 아동상담의 이해, 학지사 2016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6.09.29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09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